40. 다음 중 아래 그림과 같이 [목표값 찾기]를 실행했을 때 이에 대한 의미로 옳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평균이 65가 되려면 컴퓨터의 판매량이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? ② 컴퓨터 판매량이 65가 되려면 평균은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? ③ 평균이 65가 되려면 프린트의 판매량은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? ④ 컴퓨터 판매량이 65가 되려면 캠코더의 판매량은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?
39. 다음 중 피벗 테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원본의 자료가 변경되면 [모두 새로 고침] 기능을 이용하여 일괄 피벗 테이블에 반영할 수 있다. ② 작성된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는 경우 함께 작성한 피벗 차트는 자동으로 삭제된다. ③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려면 피벗 테이블 전체를 범위로 지정한 후 키를 누른다. ④ 피벗 테이블의 삽입 위치는 새 워크시트뿐만 아니라 기존 워크시트에서 시작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. [해설] ② 작성된 피벗 테이블을 삭제해도 함께 작성한 피벗 차트는 삭제되지 않는다. 피벗차트가 아닌 일반차트로 변경됨.
38. 다음 중 시나리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하나의 시나리오에 변경 셀을 최대 32개까지 지정할 수 있다. ② 요약 보고서나 피벗테이블 보고서로 시나리오 결과를 작성할 수 있다. ③ 시나리오 병합을 통하여 다른 통합 문서나 다른 워크시트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가져올 수 있다. ④ 입력된 자료들을 그룹별로 분류하고, 해당 그룹별로 원하는 함수를 이용한 계산 결과를 볼 수 있다. [해설] ④ 부분합은 입력된 자료들을 그룹별로 분류하고, 해당 그룹별로 원하는 함수를 이용한 계산 결과를 볼 수 있다.
37. 다음 중 아래와 같이 조건을 설정한 고급 필터의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소속이 '영업팀'이 아니면서 근무경력이 30년 이상인 사원 정보 ② 소속이 '영업팀'이면서 근무경력이 30년 이상인 사원 정보 ③ 소속이 '영업팀'이 아니거나 근무경력이 30년 이상인 사원 정보 ④ 소속이 '영업팀'이거나 근무경력이 30년 이상인 사원정보 [해설] 아니다 >= 이상 조건이 같은 행이라면 두 조건은 AND(~이면서)
36. 다음 중 창 나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창 나누기를 실행하면 하나의 작업 창은 최대 4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. ② 첫 행과 첫 열을 제외한 나머지 셀에서 창 나누기를 수행하면 현재 셀의 위쪽과 왼쪽에 창 분할선이 생긴다. ③ 현재의 창 나누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창 나누기를 지정할 수 있다. ④ 화면에 표시되는 창 나누기 형태는 인쇄 시 적용되지 않는다. [해설] ③ 현재의 창 나누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창 나누기를 지정할 수 없다. 추가 창 나누기는 불가능하다.
35. 다음 중 [페이지 나누기 미리 보기]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수동으로 삽입한 페이지 나누기는 실선으로 표시되고, 자동으로 추가된 페이지 나누기는 파선으로 표시된다. ② 자동 페이지 나누기 구분선을 이동하면 수동 페이지 나누기로 바뀐다. ③ 수동으로 삽입한 페이지 나누기를 제거하려면 페이지 나누기를 페이지 나누기 미리 보기 영역 밖으로 끌어 놓는다. ④ 행 높이와 열 너비를 변경하여도 자동 페이지 나누기는 영향을 받지 않고 원래대로 유지된다. [해설] ④ 보기 방식에 차이가 있을뿐 페이지 나누기를 하여도 행 높이와 열 너비를 조정한다면 바로 적용된다.
34. 다음 중 원형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차트 계열 요소의 값들을 '데이터 표'로 나타낼 수있다. ② 항상 한 개의 데이터 계열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축이 없다. ③ 차트의 각 조각을 분리하거나, 첫째 조각의 각을 조정할 수 있다. ④ 전체 항목의 합에 대한 각 항목의 비율을 표시할 수 있다. [해설] ① 차트 계열 요소의 값들을 '데이터 표'로 나타낼 수 없다. 데이터 테이블 (데이터 표)은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 되있음.
33. 다음 중 차트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차트에 표시되는 계열의 순서는 차트 생성 후에도 변경할 수 있다. ② 데이터 계열 값으로 참조되는 셀 영역에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경우 차트에 표시되는 값에도 적용된다. ③ 사용자가 차트 요소에 지정한 서식은 해당 요소 선택 후 [홈]-[편집]-[지우기]-[서식 지우기]를 이용하여 원래 스타일로 되돌릴 수 있다. ④ 데이터 계열 값으로 참조되는 셀 영역에서 값을 변경하는 경우 차트에 표시되는 값도 함께 변경된다. [해설] ③ 사용자가 차트 요소에 지정한 서식은 해당 요소 선택 후 [홈]-[편집]-[지우기]-[서식 지우기]를 이용하려 해도 비활성화되 있어 아무것도 할수 없다. 서식 지우기는..
32. 다음 중 워크시트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다음 워크시트로 전환하려면 시트 탭에서 +키를 누르고, 이전 워크시트로 전환하려면 +키를 누른다. ② 시트를 복사하려면 키를 누른 채 해당 시트의 시트 탭을 마우스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. ③ 현재의 워크시트 앞에 새로운 워크시트를 삽입하려면 +키를 누른다. ④ 인접하지 않은 둘 이상의 시트를 선택할 때는 키를 누른 채 원하는 시트 탭을 순서대로 클릭한다.
31. 다음 중 함수식에 대한 결과가 옳은 것은? (컴활2급 필기 - 2018년 09월 01일 기출) ① =COUNT(1, "참", TRUE, "1") → 1 ② =COUNTA(1, "거짓", TRUE, "1") → 2 ③ =MAX(TRUE, "10", 8, 3) → 10 ④ =ROUND(215.143, -2) → 215.14 [해설] ① =COUNT(1, "참", TRUE, "1") → 3 괄호 안의 인수 중 숫자의 개수를 구한다. (단, TRUE는 1 FALSE는 0 과 같음) ② =COUNTA(1, "거짓", TRUE, "1") → 4 괄호 안의 인수 중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구한다. ③ =MAX(TRUE, "10", 8, 3) → 10 괄호 안의 인수 중 가장 큰 값은? ④ =ROUND(2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제어판
- 컴활2급200704
- 자동채우기
- 컴활2급160305
- 차트
- 매크로
- 컴활2급170902
- 정보처리기사200606
- 컴활2급180901
- 컴활2급140308
- 컴활2급190831
- 보안
- 컴활2급190302
- 고급필터
- 컴활2급151017
- 컴활2급141018
- 인쇄
- 컴활2급150627
- 기출문제
- 컴활2급200229
- 컴활2급150307
- 컴활1급140308
- 컴활2급160625
- 컴활2급161002
- ITQ
- 컴활2급130309
- 컴활2급170304
- 컴활2급180303
- GTQ
- 컴활2급140628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