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3 _ 정보처리기사 [필기]

35. 알고리즘 시간복잡도 O(1)이 의미하는 것은?

오에이공부방 2025. 6. 15. 20:08
반응형

35. 알고리즘 시간복잡도 O(1)이 의미하는 것은?
(정보처리기사 필기 - 2020년 06월 06일 기출 - 2과목 소프트웨어 개발)

① 컴퓨터 처리가 불가
② 알고리즘 입력 데이터 수가 한 개
③ 알고리즘 수행시간이 입력 데이터 수와 관계없이 일정
④ 알고리즘 길이가 입력 데이터보다 작음

[해설]

③번 알고리즘 수행시간이 입력 데이터 수와 관계없이 일정이 정답입니다.

시간 복잡도 **O(1)**은 **상수 시간(Constant Time)**을 의미하며, 입력 데이터의 크기(N)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 내에 실행되는 알고리즘을 뜻합니다. 예를 들어, 배열에서 특정 인덱스의 값을 조회하는 연산은 O(1)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.

다른 선택지의 설명을 살펴보면:

 

① 컴퓨터 처리가 불가 → O(1)은 실행 가능한 알고리즘이므로 틀린 설명입니다.

② 알고리즘 입력 데이터 수가 한 개 → O(1)은 입력 데이터의 개수와 관계없이 일정한 수행 시간을 가지므로 틀린 설명입니다.

④ 알고리즘 길이가 입력 데이터보다 작음 → 알고리즘의 길이와 시간 복잡도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므로 틀린 설명입니다.

 

O(1) 알고리즘은 빠르고 효율적인 연산을 수행할 수 있어 최적화된 코드 작성에 중요한 개념입니다! 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