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7 _ IT사전
TCP/IP
오에이공부방
2025. 6. 14. 22:03
반응형
TCP/IP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본적인 원칙이에요. 이를 두 가지 핵심 프로토콜인 **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**와 **IP(Internet Protocol)**로 나눠서 볼 수 있어요.
1. TCP(전송 제어 프로토콜)
-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해요.
- 데이터를 작은 조각(패킷)으로 나눠서 보내고, 목적지에서 다시 원래대로 조립해요.
- 패킷이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고, 누락된 패킷이 있으면 다시 요청하는 기능도 있어요.
- 예를 들어,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이미지나 텍스트 데이터가 깨지지 않고 정확하게 로딩되도록 도와줘요.
2. IP(인터넷 프로토콜)
-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해요.
- 각각의 기기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, 데이터를 이 IP 주소를 따라 전달해요.
- 마치 우편주소를 이용해 편지를 보내는 것과 비슷해요! 데이터를 보낼 때 IP 주소를 이용해 올바른 기기로 배달하는 거죠.
3. TCP/IP의 동작 과정
예를 들어,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한다고 가정해볼게요!
1️⃣ 웹사이트 요청 → 브라우저에서 "www.example.com"을 입력하면, 해당 사이트의 IP 주소를 찾음.
2️⃣ 데이터 분할(TCP) → 웹사이트 데이터(텍스트, 이미지 등)를 여러 패킷으로 나눔.
3️⃣ 패킷 전달(IP) →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을 목적지(사용자의 컴퓨터)까지 보냄.
4️⃣ 패킷 재조립(TCP) → 패킷을 다시 모아서 원래의 웹페이지를 표시함.
5️⃣ 정상 확인(TCP) → 손실된 패킷이 있으면 다시 요청해 웹페이지를 완전하게 보여줌.
4. TCP/IP의 특징
✅ 인터넷 통신의 기본 프로토콜 → 우리가 웹서핑, 이메일, 영상 스트리밍을 할 때 TCP/IP가 항상 작동하고 있어요!
✅ 신뢰성 높은 데이터 전송 → 데이터 손실 없이 제대로 도착하도록 보장해요.
✅ 전 세계 모든 네트워크에서 사용 → TCP/IP는 글로벌 표준으로, 모든 인터넷 장치에서 사용돼요.
📌 결론:
TCP는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관리하고, IP는 데이터를 올바른 주소로 보내는 역할을 해요.
마치 소포를 보내면 IP가 목적지를 찾고, TCP가 소포를 올바르게 포장하고 배달을 확인하는 것과 같아요! 🚀